Interframe Wavelet Coding for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of Decoder

복호기의 연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Inter-frame Wavelet 부호화 방법

  • Jeong Seyoo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Kim Wonhwa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yunghee Univ. Radio and Broadcasting Laboratory) ;
  • Kim Kyuheo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Kim Jinwoong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정세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방송연구소 방송미디어연구부) ;
  • 김원하 (경희대학교 전자정보학부) ;
  • 김규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방송연구소 방송미디어연구부) ;
  • 김진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방송연구소 방송미디어연구부)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인터프레임 웨이블렛 부호화(Interframe Wavelet Coding)는 3D 서브밴드(Subband) 부호화라고도 하며, 기존의 DCT기반 Hybrid 동영상 부호화 방식에 비해 압축 효율이 우수하고. 특히 스케일러빌리티 기능이 뛰어난 부호화 방법이다. 인터프레임 웨이블렛 부호화 방법에서 복호화 과정 중 가장 연산 량이 많이 요구되는 역(inverse) 웨이블렛 변환이다 역 웨이블렛 변환의 연산 량은 복호화 과정에서 적용된 웨이블렛 변환과 동일한 연산량을 요구한다. 이는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동일 길이의 필터와 분해 레벨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웨이블렛 변환의 연산 량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시간 밴드 영상에 대해 동일 한 웨이블렛 필터를 사용하여 공간 웨이블렛 필터를 적용하던 것을. 로우밴드에는 9/7 필터를 적용하고 하이 밴드에는 Haar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SNR 실험에서 기존의 9/7 필터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