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자 추적 기법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보호 시스템 모델

Contents Protection System Model for Digital Broadcasting Using Traitor Tracing Scheme

  • 서병만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
  • 김소진 (부경대학교 대학원 정보보호학과) ;
  • 최재귀 (부경대학교 대학원 정보보호학과) ;
  • 박지환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 Seo, Byong-Mahn (Dept. of Computer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o-Jin (Dept. of Information Securit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Jae-Gwi (Dept. of Information Securit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Hwan (Dept. of Computer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11.14

초록

부정자 추적 기법(traitor tracing)은 컨텐츠에 대한 무단 배포, 불법 복사 등의 부정 행위를 한 부정자(traitor)를 추적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본 논문은 부정자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보호 시스템 모델을 구성하고자 한다. 기존의 traitor tracing 기법들이 암호학적 측면에서 키 유출에 대한 부정을 추적하기 위한 방식들이었다면, dynamic traitor tracing 기법과 sequential traitor tracing 기법은 복호화된 후의 컨텐츠에 대한 부정 배포를 막기 위한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sequential traitor tracing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컨텐츠 암호화 키 생성 및 전송 그리고 키 유출에 대한 추적 기능까지 제공하는 부정자 추적 기법을 제안하여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보호 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고자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