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Study on Sensitivity of Temporal Resolution of Wind Field for Prediction of Yellow Sand Dispersion in East Asia

동아시아 황사이동 예측과 관련한 기상장 시간분해능의 민감도에 관한 수치연구

  • 이순환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ㆍ기후환경연구센타) ;
  • 곽은영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ㆍ기후환경연구센) ;
  • 류찬수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ㆍ기후환경연구센타)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최근 수년간 동아시아지역의 황사는 국가간의 오염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황사연구는 침적량 예측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한반도의 경우 매우 복잡한 지형분포를 하고 있어서 침적량의 분포를 정확히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침적량의 예측연구에 기초적으로 사용되는 자료가 3차원의 바람장 예측자료이다. 지금까지의 황사 및 오염물 대기확산연구에 사용되는 바람자료는 한 지점의 관측치를 그 지역의 대표치로 간주하여 사용을 하거나, 지구규모의 바람장을 내ㆍ외삽을 하여 사용한 것이다.(Kim and Shin, 1991).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