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Deodorization Efficiency of Indoor Air Cleaner

탈취제품의 탈취 성능 측정 연구

  • 허귀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물질량 표준부 유기분석그룹) ;
  • 김정우 (충남대학교 화학) ;
  • 유연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물질량 표준부 유기분석그) ;
  • 이계호 (충남대학교 화학과)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생활공간은 대부분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의 80-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오히려 실외공기보다 실내환경의 공기오염이 수백 배 높은 실정이다1). 대부분의 시간을 특정공간에서 보내게 되므로 현대인의 건강과 편리함을 위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탈취제품(공기 청정기)이 많이 상품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NH$_3$), 트리메틸아민(($CH_3$)$_3$N), 초산($CH_3$COOH), 황화수소(H$_2$S), 메칠멀켑탄($CH_3$SH), 황화메틸 ($CH_3$S$CH_3$), 이황화메틸($CH_3$SS$CH_3$), 아세트알데히드($CH_3$CHO), styrene(C$_{8}$H$_{8}$)등 9종의 악취물질을 대상으로 탈취제품의 객관적인 탈취 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