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장치의 BP 및 연상메모리 분석

Analysis of the Back Propagation and Associative Memory for Image System

  • 민병로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김웅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김동우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서광욱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이창우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이대원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
  • 김창수 (상주대학교 기계공학부)
  • Min, Byung-Ro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Woong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Dong-Woo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Seo, Kwang-Wook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Chang-Woo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Dae-Won (Dept. of Bio-mechatronic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Chang-Soo (School of Mechatronic Engineering, Sang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04.01

초록

컴퓨터 시각장치에 의한 3차원 정보를 이용한 연구현황으로서는 최근에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람의 눈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스테레오 시각을 이용한다. 한 대의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3차원 형상 정보는 3차원 대상체가 2차원 평면상에 투사되어 얻어진 정보이므로 대상체가 갖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얻기 위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