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 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 정재홍 (오뚜기라면 연구개발실,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오만진 (오뚜기라면 연구개발실,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추청벼와 삼강벼를 원료로 하여 전분을 제조하고 그 전분을 이용하여 초산 쌀 전분을 제조하여 얻어진 초산쌀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초산 쌀 전분의 용해도와 팽윤력은 원료 전분에 비하여 높았으며 품종간에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광투과도는 원료 전분에 비하여 높았으며 원료 전력은 6$0^{\circ}C$, 초산 쌀 전분은 5$0^{\circ}C$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blue value는 원료 전분보다 낮게 나타났다. alkali number는 원료 전분보다 약7배 높았으며, 초산 쌀 전분 겔의경도, 응집성, 접착성, 점착성 및 저장성은 원료 전분 겔보다 높았으며 품종간에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Amylograph에 의한 초산 추정 및 삼강벼 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각각 59$^{\circ}C$, 62$^{\circ}C$로서 초산 처리에 의해 5~6$^{\circ}C$ 낮아졌고, 초산 쌀 전분의 점도는 원료 전분에 비하여 14~38% 증가하였으며 추청벼 전분이 삼강벼 전분보다 높았다. 초산쌀 전분 입자의 표면구조는 원료 전분에 비하여 다소 팽윤되어 헝클어진 형태를 나타냈으며, 7$0^{\circ}C$ 30분 가열에 의해서 완전히 붕괴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