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viding urban planing information in the homepage of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의 도시계획정보 제공실태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s) and internet technology and the explosive increasing of internet users, we can find almost every municipal information of local governments by visiting the home page without visiting the city hall personally. And in the case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they provide many kinds of information to inform the policy and results of urban planning to citizens The differences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from other municipal information, at first many information of urban planning should be presented as spatial data, so we have to provi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nternet GIS, and second to realize bottom-up decision making process the exchanging of information between citizen and government should be adopted as bulletin board system(BBS) and an questionnaire in internet In this paper I evaluated the sites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in the homepage of local governments by many index. the index are composed with 4 categories 20 items on information providing, 3 categories 12 items on communication, and 2 categories 8 items on internet GIS. And as a result I introduce some high scored sites at each category, and propose that we have to recognize the internet as the technological media to broaden the opportunities for the community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in reference to their political demands.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이제 시청이나 구청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시정에 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졌다. 주민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들 중 도시계획정보는 도시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도시계획 결정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아래 제공되고있다. 도시계획정보가 여타 정보와 다른 점은 첫째, 공간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정보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 GIS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과, 둘째,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만이 아니라 주민의견을 수렴하여 정책결정에 반영하는 양방향 정보전달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에서 도시계획에 관한 정보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정보제공, 의견수렴 그리고 공간정보 제공이라는 3개 분야에 대해 각각 세부평가항목을 선정하였고 평가방법과 평가기분을 제안하였다. 선정된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을 광역시와 도별 1 개소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분야별 우수사례를 소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