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 mobility support on open network architecture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Micro mobility 지원 방안

  • 김우성 (한국정보통신대한원대학교 공학부) ;
  • 김명철 (한국정보통신대한원대학교 공학부)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최근 네트워크 구조 및 시스템은 다양한 서비스의 시기 적절한 적용을 위해 개방형구조의 모습을 지향하고 있다.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는 제3의 서비스 개발자들의 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경쟁을 유발시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Mobile IP가 단말의 macro 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특성상 단말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등록 절차에 따른 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에 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향후 이동 망에서 늘어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품질을 저하시킨다. 핸드오프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표준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네트워크 모델에서 micro 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각 이동 망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의 역할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