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폭력 경험이 남자 범죄 청소년의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bstract
This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on male adolescent offenders' masculinities. Empirical and theoretical literature suggests that negative male role models in violent families result in male adolescents' experiencing conflict in constructing gender identities, especially masculinities. Moreover. criminologists argue that masculinities are often connected with crimes as a way to prove masculine competence. This study compares male adolescent offender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with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and explores how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ies among male adolescent offenders. The study used a secondary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data consisted of ethnographic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observational field notes, and formal facility records collected at a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in Minnesota.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was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at sought to understan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xpressed gender narratives and identity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of offenders. This process also examined differences within each group.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in childhood may b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ies during adolesc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adolescent offenders who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ended to attach themselves to oppressed mothers more readily than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Next, their attachment to mother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more relational gender identities although most participants, regardless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had much in common regarding gender expression. Finally, despite these relational gender identities, male adolescent offenders who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ended to depend upon violence and crimes to show masculine competence, as did male adolescent offenders who had not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e study findings suggest a need for research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gender identities in the context of particular experiences and the importance of building theories that advanc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ies and youth crime.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programs that protect young men from adherence to exaggerated masculinity,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crimes.
본 질적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영하는 것이 남자 청소년의 성정체성, 특별히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문헌들은 폭력 가정의 부정적인 남성 모델이 남자 청소년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한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남자 청소년은 종종 남성적 유능감을 입증하기 위안 방편으로 범죄를 저지른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청소년들의 범죄가 그들의 남성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남자 청소년들이 어떻게 가정폭력을 경험 하는지, 그 경험이 어떻게 그들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들의 남성성이 어떻게 범죄와 연관되는지에 관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안 청소년 교정 기관에 입소했던 남자 범죄 청소년 12명에 대해 행해진 최소 3회 이상의 인종학적 심층 면접 자료, 주당 1-2회 참여 관찰 후의 현장 기록, 그리고 교정기관의 공식 문서로 구성된 2차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열린 부호화, 표를 이용한 자료 축소, 주제별 분석을 위한 재부호화, 주요 범주와 하위 범주들의 발견, 표를 이용한 자료 재축소화, 그리고 집단 간과 집단 내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아동기 가정 폭력 경험이 사춘기 동안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폭력에 노출된 남자 범죄 청소년은 폭력 가정에서 무기력감을 경험했고 폭력의 피해자로서 억압된 어머니와 애착 관계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가정 폭력물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과 가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은 전반적인 성정체성의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관계적 성정체성의 형성과 연관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은 그들의 관계적 성정체성에도 불구하고, 기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처럼 남성적 유능감을 보여 주기 위해 폭력과 범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