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폐수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DO농도에 따른 미생물의 활성 변화 측정

  • 문순식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 이상훈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 신종철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 최광근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 이상훈 (대성산소(주) 초저온연구소) ;
  • 문흥만 (대성산소(주) 초저온연구소) ;
  • 이진원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Published : 2002.04.12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find the maximum microbial efficiency at the various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conditions in the treatment of pharmaceutical wastewater. Experiments of activated sludge proces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icrobial activity and DO concentration in a continuous bioreactor. The reduction rate of COD (chemical oxygen demand) was low at the DO concentration between 0 ppm and 1.0 ppm, but it went higher and showed maximum between 1.5 ppm and 3.0 ppm. Then the COD reduction rate was quickly decreased above the DO concentration of 3.0 ppm.

본 연구는 제약폐수 처리에 있어서 폐수처리장내의 미생물 활성을 최대로 하여 운전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물 반응기내의 미생물의 활성과 최적 용존산소 농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기위해 연속식 실험을 진행한 결과, 0${\sim}$1.0 ppm 정도의 낮은 DO농도에서는 COD의 감소율도 적고, 1.5${\sim}$3.0 ppm 정도일 때에는 COD의 감소율이 다른 DO농도일 때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3.0 ppm 이상의 DO농도에서는 오히려 COD 감소율이 작아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