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bservation Based Model to the Ozone Episode in Seoul, Korea

서울의 고농도 오존사례 연구를 위한 관측기반모형의 개발과 적용

  • 신성수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 조석연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와 자동차 수의 증가에 따라서 오존 전구물질인 VOC와 NOx의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고농도 오존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오존은 VOC와 NOx간의 광화학 반응으로 형성하므로. VOC와 NOx중의 하나는 제한종(limiting species)로 작용하게 되므로, 광화학 반응을 분석하여 제한종을 규명하여야만 효율적 오존 저감대책을 세울 수 있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