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utomatic Side Ventilation on Cucumber Sap Excrete in Greenhouse

측창자율구동 환기가 시설오이 일비액에 미치는 영향

  • Jeon, Hee (Div. of Protected Cultivation,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Hyun-Hwan (Div. of Protected Cultivation,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Si-Young (Div. of Protected Cultivation,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Kyung-Je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Dongguk University)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시설오이의 국내 재배면적은 2001년도에 5,412 ha 으로서 389천톤을 생산하였다. 재배작형은 시설억제, 촉성, 반촉성, 시설조숙 등 매우 다양하고, 재배작형과 지역적인 재배관습 그리고 소비경향에 따라 재배품종 또한 다양하다. 시설오이의 단보당 평균 수량은 7,184 kg 이지만, 이들 재배요인에 따라 단보당 수량이 지역별로 4배 정도로 차이가 많다. 즉 중부지방에서 무가온 시설조숙재배인 경우 과중이 120g 내외인 백다다기 오이를 4~5개월 정도 단기간 재배하기 때문에 수량이 단보당 3,500kg 정도이지만, 남부지방에서 7~10개월 정도 장기간 청장계 오이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단보당수량이 12,000kg 이상을 넘는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