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b-value Diffusion Study of Normal Brain at 3 Tesla

  • 이영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과) ;
  • 손철호 (계명대의대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황문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과) ;
  • 배성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과) ;
  • 장용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용생체공학과, 경북대의대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목적: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확산경사자장의 세기 이상( > 1200)의 강한 확산 경사자장이 가해진 경우 뇌구조물들의 확산계수값을 조사하고 고자장(Bo = 3T)에서 이러한 강한 확산 경사자장을 이용하는 경우 1.5T에서 시행하는 경우와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3명을 대상으로 b-value를 0부터 3500까지 변화시키며 확산강조영상을 최대경사자장 40 mT/m, slew rate 150 T/m/s의 경사자장계가 장착된 3T MR scanner (General Electric, USA)에서 획득하였다. 사용한 펄스열은 Stejskal-Tanner type의 확산강조 경사자장이 포함된 single-shot SE EPI를 사용하였으며 영상획득시 사용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TR/TE= 10000/95.1, Thickness/space=512mm, FOV=24$\times$21cm, Matrix=128$\times$128, NEX=1 뇌구조물들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b-value에 따른 신호감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hi-exponential decay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