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김창혁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이성기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이규호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발행 : 2002.11.01

초록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1과 실험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1에서 난황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red 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red 착색제 보다 합성 red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natural and the synthetic commercial pigments on the laying performance, pigmentation and fatty acid contents in egg Yolk of laying hens. Feed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feed efficien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experiments I and II. White height and haugh unit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wo experiments. In order to approach the yolk pigmentation to 12∼13 of Roche color fan, addition level of natural red pigment was 25∼30 ppm. In the case of synthetic red pigment, the level was 15∼20 ppm.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the pigmenting effect of the synthetic pigment had better than that of the natural pigment. In the experiment 2, the Pigmenting effect of mixing Pigments were inveatigated between TM2 mixed with natural red pigment, and TM6 mixed with synthesis red pigment. The fatty acid content in yolk was not affected by pigment add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