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조건이 쌀의 배아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ling Conditions on the Adherence of Rice Germs

  • 정종훈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엄천일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발행 : 2002.02.01

초록

배아부착률이 높은 배아미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미의 함수율과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가 쌀 배아부착률, 싸래기율, 백도, 동할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이 배아부착률에 큰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쌀의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3.2%에서는 약 70%∼76%이었고, 함수율 13.4∼14.5%에서 약 66∼67%, 함수율 15.2%에서 약 38∼46%, 함수율 15.4%에서는 약 9∼10%로서,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5.4%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축회전속도 9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이 11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보다 함수율 13.2%∼15.2% 범위에서 약 2∼8%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미를 고려하고 높은 배아부착률을 갖기 위해서는 약 함수율 15.2% 이하에서 도정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정미기 축회전속도의 감소로 함수율 15.2% 이하에서는 쌀의 배아부착률을 약 8%까지 높일 수 있었다. 2.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 증가에 쌀의 백도는 약 23에서 40가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함수율 약 15.2% 이상에서는 약 4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함수율 13.2%∼15.4%에서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백도가 900rpm일 때 보다 약 1.3∼4.0정도 약간 놀게 나타났으나, 함수율 약 16.7% 이상에서는 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즉 쌀의 백도는 함수율에 따라 결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3. 함수율이 정백공정중 싸래기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현미의 함수율 13.4%에서 16.7% 범위에서는 두 축회전속도에서 같은 경향으로 싸래기율이 약 3.5%에서 약 1%까지 점차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함수율이 16.7% 이상일 때부터 싸래기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 약 15.2%가지는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싸래기율이 900rpm일 때 보다 약 0.6%∼1.0% 높게 나타났다. 4. 함수율 13.2%부터 16.2%까지는 함수율에 따라 배아미의 동할율은 거의 약 9% 이하로 일정하였다. 또한, 함수율 13.2%∼14.5% 사이와 17%이상에서는 1100rpm에서의 동할율이 900rpm일 때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함수율 16.7%에서는 동할율이 약 10%, 함수율 약 17%에서는 동할율이 약 2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함수율이 쌀의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다음으로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 역시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 등의 물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