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howing up the HuaSungSungYouk-EuGye during the Chosen Dynasty

조선시대 화성성역의궤에 나타난 건설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 이태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이상해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show up the fact which a kind of construction management was applied during the ancient Korea, especially, Chosun Dynasty but also to understand its construction capacity by analysing various information. mainly collected from the book, HwaSungSungYouk-EuGye. The book was made by ChungCho who was one of the great kings Choson Dynasty, which has lots of information about how to build HwaSung during the last of the eighteen century. This study starts from the definition that the HwaSungSungYouk was one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which is the concept for construction management today. The construction project can be defined in terms of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 project is a temporary endeavor undertaken to create a unique product. Temporary means that every project has a definite beginning and a definite end. Unique means the product is different in some distinguishing way from all similar products. A project is also undertaken several kinds of organizations. They may involve a single person or many thousands. 1'his study is to show some of the effective methods. Firstly, the concept of the database system today can be applied to effectively control and classify the complicated data in the HwaSungSungYouk-EuGye.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system, the concept of modem construction management will be also use to figure out the construction data of the HwaSungSungYouk-EuGye.

18세기말 정조에 의해 만들어진 $\lceil$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rfloor$는 수원 화성의 건설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일종의 공사 보고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성성역의궤에 기록된 공사관련 내용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대 건설관리 개념의 실체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현대 건설관리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화성성역의 새로운 분석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화성성역을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 정의하였다. 즉, 명확한 시작과 종료 시점이 존재하였으며, 다양한 공사조직이 비 반복적 작업들을 상호 연관성 속에서 수행한 공사였다. 또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임시조직이 존재하였으며, 비용, 자재, 인력, 공정 등에 따르는 많은 제약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연구 진행은 일차적으로 화성성역의례의 방대한 데이터와 공사관련 내용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오늘날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현대 건설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화성성역 초기에 건설된 장안문(長安門) 공사를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