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otal Cost Change Control in Private Investment Projects

민간투자시설사업에 있어 총사업비 변경관리의 개선방안 연구 - 고속도로 민간투자시설사업을 중심으로

  • 김세종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건설경영학과) ;
  • 김용수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problems related to total cost changes in private investment projects, and then proposes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control of cost chang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roject management, contract, human resource, project communication, cost, and time management. From the viewpoint of contract management, the basis of cost change ought to be cleared up with standardization of related provisions in the concession agreement, and potentiality of change ought to be excluded with prescription of the private investor's leading role from the design phase. Regar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paper proposes a standard work flow granting much sovereign rights to private parts by putting restriction on work scopes of the entrusted authority of government, and transferring the rights of assignment, contract, and control about the responsible supervisor to the concessionaire. With regard to project communication management the notification of changes on drawings and technical documents ought to be automated and the realtime database ought to be established with DMIS (Drawings & Document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rom the cost management point of view, this thesis integrates the control of cost-change-approved items and disapproved items to one cost breakdown system, and then harmonizes the actual progress with EVMS in time management.

국내에서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민간투자사업의 시행에는 많은 난제들이 산재해 있으며, 특히, 민간의 창의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lceil$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rfloor$ 에 명시된 총사업비 사전확정 및 사후정산 금지규정은 사업비변경과 관련하여 정부와 사업시행자간 분쟁의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의 총사업비 변경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의 개선을 위한 총사업비변경 관리방안을 사업관리요소인 계약·조직·정보·비용·공정관리의 틀로서 접근, 분석하였다. 계약관리의 측면에서 실시협약 관련조항의 표준안을 구축하고, 조직관리의 측면에서 업무범위를 명확화한 업무플로우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아올러 정보관리의 측면에서 설계서 변경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도면, 문서관리시스템(DMIS)을 제안하고, 비용·공정관리의 측면에서 실공정과 일치되는 통합 내역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