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형 LED 교통신호등 규격화 연구

A Study on the LED Traffic Signal Standards

  • 정학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 주봉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 한수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 이선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 김규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 유승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조명기술연구센터)
  • Jeong, Hak-Geu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 Jung, Bong-Ma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 Han, Su-Bi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 Lee, Sun-Keu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 Kim, Kyu-Deok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 Yu, Seung-Wo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lectrics & Lighting Research Center)
  • 발행 : 2001.04.19

초록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호등용 전구는 전량 해외에서 수입되는 백열전구로써, 낮은 발광효율($8.0{\sim}8.4lm/W$)과 짧은 수명(약 4,000 hours)으로, 지방 자치단체의 경우 전기에너지의 과소비와 과중한 전력요금 부담 잦은 유지보수로 관리비용이 증가하고 교통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첨두부하 증가, 귀중한 에너지 낭비 및 석유, 가스 등 발전용 화석연료 사용증가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는 발광 특성상 열 발생이 적고, 특정 파장대의 단색광을 발광하는 광원으로써 전력소비가 매우 작고, 긴 수명, 양호한 환경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옥외에 노출되고, 점등이 길고 소등 횟수가 많으며 단색광을 필요로 하는 신호등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LED 신호등은 발광 원리 및 발광 방식이 기존의 전구식과 달라 현재 규정된 시험방법으로 직접 평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LED 제조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나 LED 신호등에 대한 기술개발 및 보급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보급환경 구축을 위해 LED 신호등에 대한 시제품의 특성을 장시간의 옥외 시험을 통해 우리나라 환경 특성에 적합한 LED 교통 신호등 규격을 연구하고자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