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인의 두개내 자기공명분광법: 서로 다른 TE에 대한 같은 기종 내 및 다른 기종간의 정상 값의 비교

  • 백문영 (인제대학교 의료영상과학대학원) ;
  • 조종운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조지연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박청수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이현용 (부산 백병원 진단방사선과 MRI실) ;
  • 신운재 (부산 백병원 진단방사선과 MRI실) ;
  • 은충기 (인제대학교 의료영상과학대학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 ;
  • 문치웅 (인제대학교 의료영상과학대학원,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발행 : 2001.11.01

초록

목적: 두 종류의 MR 기종에서 정상 성인의 두개 내 Frontal White Matter와 Basal Ganglia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TE에 대해 MR 분광법을 시행하여 기종 내, 기종간의 정상 값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신경학, 형태학적으로 이상이 없는 8명의 자원자(평균나이 24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지원자 개개인에게 두 개의 서로 다른 1.5T MR 기종(A, B기종)에서 각각 TE를 달리하여 Frontal White Matter, Basal Ganglia를 대상으로 MR 분광법을 시행하였다. 사용한 pulse sequence는 PRESS 방법이며, TR/TE는 3000/22(25),136(144)msec, 선택체적의 크기는 20$\times$20$\times$20(mm$^3$)로 하였다. MR 기종 A는 manual prescan, B는 automatic prescan을 이용하여 최적의 분광정보를 얻었다. 각각의 MR장치에서 얻은 분광 데이터는 본 기관에서 제작된 S/W로 PC에서 처리하여 각 대사물질 피크 면적의 NAA/Cr, Cho/Cr값을 구하였고, TE값에 따라 MR 기종 내 및 기종간의 정상 값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Faired-Comparison t-test(p<0.0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