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북만의 굴양식장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II. 기초생산력

  • 정우건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이용학부) ;
  • 김용술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이용학부) ;
  • 조창환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이용학부) ;
  • 조상만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이용학부)
  • 발행 : 2001.11.01

초록

해양의 유기물 합성의 95%를 담당하는 식물프랑크톤은 해양 먹이연쇄의 1차 생산자로서 이들을 여과 섭식하는 이매패류는 식물프랑크톤의 분포나 양에 따라 그 생산이 좌우된다. 그러나 이 식물프랑크톤의 분포는 동일한 해역이라도 영양염류, 수온, 태양광선의 세기와 해수면에 입사된 광선이 해수 중에서 소멸되는 정도 등에 따라 생선속도가 달라지므로 동일해역에서도 분포의 변이가 매우 심하다. 기초생산력의 차이는 굴 성육에 관계되므로 여과섭식성 이매패류 양식장의 생산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배 등, 1978; 이 등, 1991). 이 연구는 북만의 기초생산력을 조사하여, 다른 해역과 비교하고 먹이생물의 생산능력에 의한 굴양식장 수용력을 검토하는 자료로 제공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