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호기공정을 이용한 순환식 생물여과반응기에서 동시 질산화 및 탈질화의 특성 연구

  • 이수철 (한림대학교 환경학과 환경공정연구실) ;
  • 김동진 (한림대학교 환경학과 환경공정연구실)
  • Published : 2000.04.0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luent $NH_4^{\;+}-N$ load, C/N ratio and superficial air velocity on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Laboratory scale upflow biological aerated filter(BAF) was consisted of an anoxic-aerobic filter packed with porous ceramic media and operated with synthetic wastewater. BAFs requires less energy and space for the system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influent C/N ratios were varied from 0 to 1 by adjusting acetate. Various superficial air velocity had been applied to investigate aeration effect on nitrogen removal. The BAF reactor showed more than 90% average $NH_4^{\;+}-N$ removal efficiencies at $NH_4^{\;+}-N$ loading in the range of $0.26{\sim}1.33$ kg $NH_4^{\;+}-N/m^3{\cdot}d$ and 62% average T-N removal efficiencies at the C/N ratio of 1. Moreover, average T-N removal efficiencies increased as the superficial air velocity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NH_4^{\;+}-N$ removal efficiencies.

본 BAF 반응기 연구에서의 C/N비의 증가는 산소의 친화도가 큰 호기성 종속영양 미생물에게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여 질산화의 효율을 감소시켰으나 공기양의 증가로 인해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도는 다시 증가하였다. 총 질소의 제거율은 동일한 C/N비에서 공기량을 증가하여 많은 양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산화될 때 증가하였으며 이 결과는 무산소조에서 많은 다공성의 여재에 미생물이 두꺼운 생물막을 형성하여 생물막 안쪽으로 용존산소가 쉽게 전달되지 않아 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