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번역 시스템을 위한 문틀 기반 번역 방식의 실현성 분석

An Analysis of Feasibility of Sentence Frame Based Method for Korean to English Translation System

  • 김영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컴퓨터소프트웨어 연구소 언어공학연구부 지식처리팀) ;
  • 서영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컴퓨터소프트웨어 연구소 언어공학연구부 지식처리팀) ;
  • 서광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컴퓨터소프트웨어 연구소 언어공학연구부 지식처리팀) ;
  • 최승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컴퓨터소프트웨어 연구소 언어공학연구부 지식처리팀)
  • Kim, Young-Kil (Knowledge Processing Team, Dept. of Language Engineering, ETRI) ;
  • Seo, Young-Ae (Knowledge Processing Team, Dept. of Language Engineering, ETRI) ;
  • Seo, Kwang-Jun (Knowledge Processing Team, Dept. of Language Engineering, ETRI) ;
  • Choi, Sung-Kwon (Knowledge Processing Team, Dept. of Language Engineering, ETRI)
  • 발행 : 2000.10.13

초록

지금까지의 한영 번역 방식은 규칙 기반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현재 패턴을 이용한 번역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패턴 기반 방식은 그 적용성(Coverage)에 대한 치명적인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패턴을 어절 단위의 일반 문틀과 동사구를 중심으로 하는 용언중심의 문틀로 나누어 각 패턴들에 대한 적용성 및 실현성을 조사한다. 실험은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방송 자막 문장 351,806 문장을 대상으로 자동으로 문틀을 구축하여 4,995 문장의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적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방송 자막 문장을 대상으로 한영번역을 위한 일반 문틀 및 용언 중심의 문틀 방식의 적용성을 조사하여 문틀 기반 방식의 실현성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한영 번역 시스템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