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LL(2,10) 변조 부호를 고려한 저복잡도 검출 기법

Low-Complexity Detection Techniques for Run-Length Limited Codes with d=2

  • 조한규 (연세대학교 전기.전자 공학과) ;
  • 이보형 ((주)LG 전자 디지털 미디어 연구소) ;
  • 손희기 ((주)LG 전자 디지털 미디어 연구소) ;
  • 강창언 (연세대학교 전기.전자 공학과) ;
  • 홍대식 (연세대학교 전기.전자 공학과)
  • 발행 : 2000.11.01

초록

PRML (partial response maximum-likelihood) 과 FDTS/DF (fixed-delay tree search with decision feedback)는 기록 저장 시스템에서 준최적의 성능을 보임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정보열 검출 기법은 피할 수 없는 복잡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최소 run 길이 제한조건 d=2를 가진 광기록 채널을 위한 다양한 저복잡도 검출 기법을 다룬다. 우선, 결정 궤환 기법을 이용한 이산 정합 여파기 (discrete matched filter with decision feedback:DMF/DF)가 기존의 PRML로부터 유도된다. 유도된 시스템은 PRML보다 결정 궤환에 의한 성능 이득을 갖는다. 또한, 메트릭 계산을 사용하지 않는 저복잡도 FDTS/DF가 유도된다. 모의실험 결과에 의하면, 유도된 저복잡도 검출 기법들은 기록 밀도 S>=5.5에서 P(D)=1+D+D/sup 2/+D/sup 3/의 target을 갖는 PRML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