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al issues on Workplace-Employee Panel Survey: The Cases of Australia, Canada, Britain

사업장단위 노사관계 패널조사 사례: 호주, 캐나다, 영국의 조사와 한국에서의 합의

  • 한준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
  • 박준식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 corporate restructuring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practice of employment relations. However the lack of information on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such changes hinder the appropriate policy making on shop-floor industrial relations. Correct assessment of realities an effective policy making require information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structure of employment relations at the workplace level.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workplace-employee integrated surveys carried out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Canada, and Britain, to extract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such survey in Korea. We focus on the backgrounds of the surveys and practical issues involved in multi-level, longitudinal survey design.

구조 조정을 거치면서 한국의 기업들은 고용관계의 구조와 관행에서 현저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의 실상과 내용에 대한 정보의 결여로 인해 정책 당국자들은 올바른 사업장 단위의 고용관계 정책 입안에 애로를 겪고 있다. 정확한 현실 진단과 효율적 정책 입안을 위해 기업단위의 고용관계, 고용 및 인적자원 경영관행에 대한 정확한 실태 및 변화추세 파악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고용관계 패널조사의 필요성과 아울러 그 조사방법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해 주요 선진 국가들에서 80년대부터 실시한 사업장 단위 고용관계 패널조사의 경험들을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 현실에 적합한 사업장 단위 노사관계 패널조사의 의미와 방향을 모색한다. 특히 패널 조사의 특성과 관련된 조사방법상의 문제점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