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3D seismic reflection imaging in an area of ground subsidence

지반 침하지역에서의 3차원 탄성파 반사법에 의한 지하구조 영상화 사례

  • Ko, Kwang-Beom (Imaging Technology Research Laboratory, Hansung University) ;
  • Lee, Doo-Sung (Imaging Technology Research Laboratory, Hansung University)
  • 고광범 (한성대학교 영상화기술연구실) ;
  • 이두성 (한성대학교 영상화기술연구실)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In order to visualize mine cavities, 3D seismic reflection data were acquired at the ground subsidence sites near Nampung coal mine area, Neukguri, Dogye, Samchuck. Full range 3D array with complete range of azimuths on the bins was considered in the data acquisition design. Because of poor S/N data, we estimated the stacking velocities by CVS method, and we estimated the shot and receiver statics on the shot and receiver stack data. We could confirm that features of ground collapse that were expected from the subsidence. In order to visualize the cavities, we need to apply more sophisticated processing schemes, such as velocity analysis, residual statics correction.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늑구리 남풍갱 부근의 채굴 공동에 의한 지반침하 지역에서 지하구조를 영상화하고자 3차원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자료획득에는 Full range 3D 배열을 적용하였고, 자료처리 시 속도분석은 상속도 중하단면을 이용하였으며 정보정은 공통 발파점 및 공통 수진점에 따라 중합한 결과를 토대로 발파점 및 수진점 보정량을 추출, 적용하였다. 남풍갱 지역의 지반침하 양상을 가장 특성있게 표현하는 측선을 선정, 중합단면을 검토한 결과 침하에 의한 전반적인 지반붕괴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데이터의 질이 불량하여 공동의 경계, 크기 등 공동의 기하학적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전처리 및 보다 정밀한 속도 분석 및 정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