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Test and Evaluation for LED Traffic Signal Lamps

에너지 절약형 LED 교통신호등 보급을 위한 국내 옥외 환경 시험 및 평가

  • Yu, Seung-Weon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Jung, Bong-Man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Jeong, Hak-Geun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Han, Su-Bin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Kim, Kyu-Deok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 Park, Suk-In (Electric Energy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유승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 정봉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 정학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 한수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 김규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 박석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전기에너지연구팀)
  • Published : 2000.07.17

Abstract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등용 전구는 전량 해외에서 수입하는 백열전구로써 발열에 의한 낮은 발광 효율과 짧은 수명으로. 전력의 과소비와 과중한 전력요금 부담. 잦은 유지보수로 관리비용의 증가와 교통환경 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귀중한 에너지의 낭비, 첨두부하 증가에 따른 전력수요관리의 어려움, 발전용 화석연료 사용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유발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8{\sim}12$인치의 원형(또는 사각) PCB 기판에 수백개의 고휘도 LED(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와 구동회로로 구성되는 LED 교통신호등은 발열에 의한 열손실이 거의 없고, 특정 파장대의 단색광을 발광하여 착색렌즈 사용에 따른 빛손실이 없어 80% 이상의 대폭적인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며. 또한 긴 수명으로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및 교통환경개선 효과가 크게 기대되어 미국, 일본 등 고휘도 LEB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쟁적으로 LED 신호등 기술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부 시범 보급중에 있다. 교통신호등은 특성상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안으로 엄격한 규격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LED 신호등은 발광 원리 및 발광 방식이 기존의 전구식과 달라 현재 규정된 시험방법으로 직접 평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LED 제조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나 LED 신호등에 대한 기술개발 및 보급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절약형 우리나라 환경 특성에 적합한 LED 교통 신호등의 규격 제정 및 국내 보급환경 구축을 위해 LED 신호등에 대한 시제품의 특성을 장시간의 옥외 시험을 통해 평가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