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oper domestic external metadata standards

국내에 적합한 외부메타데이터 표준에 관한 연구

  • 김계현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환경GIS연구실) ;
  • 김희두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환경GIS연구실)
  • Published : 1999.06.11

Abstrac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external metadata which fit domestic demands of the digital maps. For designing a standard external metadata reflecting the current trend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n standardization, a prelimenary study was made mainly concentrating on the analysis of the standards of the developed countries. For better assessing domestic needs, all the metadata related material of the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ased on the NGI's workflow. The external metadata draft was made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NGI material and the draft was also cited some major cores from the ISO standards.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to update the metadata draft based on the opinions from domestic users and the technical trend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n standardization.

본 연구는 국내의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관리와 공급을 위하여 외부메타데이터 설계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보다 효율적이고 세계표준에 부합하는 메타데이터의 표준안을 제작하기 위하여 국외의 표준화 관련 기구의 동향 분석과 함께 선진국의 메타데이터 구축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의 구축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사용자 기관인 국립지리원의 메타데이터 관련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실무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항목별로 분류를 하였으며, 데이터의 유형별 중요도를 부과하였다. 이러한 기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외부메타데이터의 설계안을 도출하였으며 ISO의 표준안을 최대한 수용하는 표준메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표준안은 향후 ISO와 CEN 등 국제 표준화 관련 기구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