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based Korean Phrase Structure Grammar adjusting X-bar Theory

X-바 이론을 변형한 자질기반의 한국어 구구조 문법

  • Park, So-Young (NLP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Hwang, Young-Sook (NLP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Chung, Hoo-Jung (NLP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wak, Yong-Jae (NLP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Rim, Hae-Chabg (NLP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박소영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연구실) ;
  • 황영숙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연구실) ;
  • 정후중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연구실) ;
  • 곽용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연구실) ;
  • 임해창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연구실)
  • Published : 1998.10.09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X-바 이론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서로 다른 범주들간의 구조적 일반성을 파악하고, 한국어에 가능한 규칙만을 허용하여 불가능한 규칙을 배제시킬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가 비중심어간 어순이 자유롭고 기능어가 발달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심어와 보충어 관계 중심의 기존 X-바 이론을 통사적 파생과 의미적 파생, 수식 및 하위범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변형한다. 또한, 한국어의 빈번한 생략현상과 부분 자유 어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진결합 중심의 CNF(Chomsky Normal Form)를 따른다. 제안하는 자질기반의 한국어 구구조 문법은 직관적이고 간단하면서도 대부분의 문장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표현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신문기사에서 454문장을 추출하여 실험한 결과, 약 97%의 문장에 대해 올바른 구문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