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ulin 비의존형 당뇨병 (NIDDM) 치료제 개발 전략

  • 천승훈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당뇨병은 고대 에집트시대때부터 다뇨증상을 가진 질병으로 알러져 왔으며 희랍의 의사인 Aretaeus (of Cappadocia)가 이 질병을 희랍어로 siphon을 의미하는 diabetes라 명명하였다. 17세기에는 꿀을 뜻하는 mellitus가 diabetes에 더해져 지금까지 쓰이고 있으며 18세기에 들어서야 sweetness가 sugar에 기인한다는 걸 밝혀내었다. 당뇨병은 이와 같이 오래되고 흔한 질병이지만 그에 대한 치료제는 insulin, sulfonylurea제, biguanide제 그리고 최근에 개발되어 시판되었으나 간독성으로 인하여 영국에서는 판매가 금지된 thiazolidinedione제 뿐이기 때문에 많은 제약회사에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1억명 이상 그리고 미국에만 1,400만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가 있다고 추정되며 이의 치료에 들어가는 경비가 $105억에 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주로 선진국에서 흔하던 이 질병이 요즈음엔 풍족해진 음식, 문명의 서구화(소위 말하는 "Coca-colonization")와 운동 부족 등의 이유로 개발국과 개발도상국에서도 발병율이 높아 가는 질병이기 때문에 획기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기도 하다.한 때이기도 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