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유산균의 in vivo에서 장내유해효소의 억제효과

  • 발행 : 1997.04.01

초록

장내세균은 음식물, 스트레스, 생활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장내 세균이 생산하는 효소활성도 영향을 받는다. 장내미생물효소는 질병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장내의 pH와 효소저해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 데 장내의 높은 pH에 의해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등의 장내유해효소활성이 유도되므로 장내의 pH를 낮춤으로써 효소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Bifidobacterium은 장내에서 lactic acid, acetic acid를 생산하여 장내의 pH를 낮추며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국인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일 경우 한국인의 장내에 가장 잘 정착되며 장내미생물의 유해효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