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검사 중 공기역학적 검사에서 한국인 정상 평균치

Mean Value of Aerodynamic Study in Normal Korean

  • 서장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음성언어연구소) ;
  • 송시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음성언어연구소) ;
  • 권오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음성언어연구소) ;
  • 정옥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 발행 : 1996.11.01

초록

최근 들어 음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성이상을 호소하며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이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국내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기왕력 상 폐질환이나 신경계질환, 후두질환을 앓은 적이 없으며 음성조율 기관에 이상이 없고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10세에서 69세까지의 무작위 추출된 정상 한국인 남자 112명과 여자 122명을 대상으로 Aerophone II voice func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공기역동학적 검사 중 최대발성지속시간(maximum phonation time), 평균호기류율(mean airflow rate), 발성율(phonation quotient), 발성시 기류량(phonatory flow volume) 및 성문하압(subglottal pressure)의 정상 한국인의 남녀 년령별 평균치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