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틸살리실산말톨 에스텔의 피부투과 촉진

  • 발행 : 1996.04.01

초록

PG의 농도가 AM의 경피투과에 미치는 영향은 용해도곡선과 유수분배곡선의 교점인 40% 농도에서 투과극대를 보였다. 지방산 및 지방산 알코올의 촉진효과는 리놀레인산>올에인산>올레일알코올> DHA=EPA=라우린산의 순이었고 PG에 리놀레인산 또는 올레인산을 첨가한 경우는 PG 단독에 비해 129.9 및 43.0배의 투과를 나타냈다. 또, 리놀레인산의 농도증가 (2,5,10%)에 따라 피부/매질 간의 분배계수가 가장 큰 5% 농도의 리놀레인산을 사용했을 때 투과효과가 최대로 나타났다. 한편, AM의 농도증가에 따른 투과효과에 있어서는 포화용해상태인 2% 약물농도에서 투과 flux가 가장 컸다. 라우릴황산타트륨의 첨가는 유의성 있는 효과를 발현하지 못했고 지방산과 병용시에도 지방산 단독 사용시에 비해 오히려 투과를 감소시켰다. 종차에 따른 AM의 피부투과에 있어서는 리놀레인산을 투과촉진제로 사용한 결과 흰주와 무모마우스의 투과 flux가 각각 23.78 및 213.29 $\mu\textrm{g}$/$\textrm{cm}^2$/hr로 무모마우스가 8.97배 높았다. 흰주의 추출액 및 호모지네이트 중에서의 AM의 대사에 있어서는 겉보기 1차 분해속도정수가 표피측추출액, 장막측추출액, 호모지네이트에서 각각 0.0105, 0.572 및 6.153$hr^{-1}$로 호모지네이트 중의 분해속도가 가장 빨라 AM은 피부투과 중에 가장 많이 분해됨을 알았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