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sm of antiulceric effect of eupatilin, a biological active component of Arternisia extract

  • Miwon Son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Oh, Tae-Young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Ryu, Byung-Kweon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Moohi Yoo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Kim, Won-Bae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Junnick Yang (Research Laboratorie, Dong-A Pharm. Co. Ltd.) ;
  • Lee, Eun-Bang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6.04.01

초록

Eupatilin은 급성위궤양 모델인 HCl-EtOH model에서 0.3mg/kg에서 50% 억제하였으며 10mg/kg에서 95% 최대효과를 나타내었고, indomethacin model에서는 0.8mg/kg에서 50% 억제하였으며, 10mg/kg에서 97% 최대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yclooxygenase-1의 활성은 1.7, 5.8$\mu\textrm{g}$/$m\ell$에서 prostaglandin E$_2$와 prostacyclin의 생성을 각각 2배 촉진시켰으나, cyclooxygenase-2에 대한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FMLP로 활성화시킨 호중구에 대한 활성은 0.6$\mu\textrm{g}$/kg에서 50% 억제하여 oxygen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반면 xanthine oxidase 및 iron-dependant lipid peroxidation 활성에 대해서는 78.8, 26.9$\mu\textrm{g}$/$m\ell$에서50% 억제를 보였다. 5-lipooxygenase 활성은 2.1$\mu\textrm{g}$/$m\ell$ 에서 염증매개인자인 leukotriene B$_4$ 생성을 50%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애엽추출의 항궤양 효과는 prostaglandin의 생성촉진 및 oxygen free radical 과 leukotriene B4와 같은 공격인자의 생성억제 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