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BOM(Bill of Material) data management

BOM (Bill of Material)의 효과성 분석 모형 연구

  • Published : 1994.04.01

Abstract

본 연구는 MRP(Material Requirement System) 시스템의 기본 요소인 BOM(Bill of Material)의 효과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BOM은 부품의 구성 관계를 나타내는 표로서, 근자에는 모듈화의 개념이 도입된 Modular BOM이 제시되고 있다. Modular BOM은 부품의 구성 관계를 모듈화 함으로써 이들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구조형 BOM의 불편함, 단점 등을 보완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구조형 BOM과 modular BOM을 데이타베이스 관리면에서 분석함으로서, 모듈화한 BOM이 데이타 관리면에서 지니는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데이타 관리의 효과성 분석은 BOM 데이타 관리면에서 지니는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데이타 관리의 효과성 분석은 BOM 데이타베이스의 제품구성을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의 레코드 (또는 tuple)로 표현 함으로서, 특정 부분품으로 구성된 완제품들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레코드 수를 기초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상의 논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데이타 관리 관점에서 분석한다. 1. 제품구성 표시를 위한 BOM 데이타베이스의 구성 레코드 수의 비교, 2. 새로운 제품의 추가나 기 제품의 제품구성 변경에 따른 갱신의 용이성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BOM 구성이 레벨을 무시한 단순형태의 2단계 BOM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BOM데이타 베이스 관리의 효과성은 제시된 레코드 수에 기초하여 데이타베이스의 규모와 변경 용이성의 측정 모형을 수립하고, 이들 모형을 modular BOM과 구조형 BOM에 적용함으로서 수행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