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Risperidone(R 64766)의 임상 효과 및 안정성 연구

  • 발행 : 1993.04.01

초록

목적:지금까지 Risperidone의 치료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들이 모두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약물 요법의 중요한 지침이 되는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초발인 급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antipsychotic effect)와 추체외로계증상(extrapyramidal symptoms)을 평가하고 둘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와 혈장 Risperidone 및 9-hydroxyrisperidone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효혈장농도(therapeutic dose range)와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의 존재 여부를 검토코자 한다. 방법: DSM-III-R 진단기준(APA 1987)예 의해 정신분열병형 장애로 진단된 환자 11명(남자 5, 여자 6)을 대상으로 Risperidone을 이중맹검법(double blind design)으로 6주간 투약하였다. 정신병리의 평가는 PANSS(Kay 1988)를 이용하였고 추체외로계 부작용의 평가는 ESRS(Chouinard 1980)를 이용하였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Jansen사의 Radio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결과: PANSS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arkinsonism과 dyskines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ystoni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에는 평균 5.96점으로 높았으나 2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6주째에는 유지되었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PANSS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