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관상동맥평활근세포의 $K^{+}$ 통로 개방약물에 의한 이완 반응에 대한 연구

  • 임병용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발행 : 1993.04.01

초록

개의 관상동맥평활근세포를 이용하여 $K^{+}$channel openers인 cromakalim과 pinacidil의 이완반응을 관찰하고, 이러한 이완반응의 세포내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Collagenase로 소화시켜 구한 평활근 세포들은 frypan blue 배출 검사 및 전자현미경학적으로 검사시 건전하고 생존해 있었다. 분산평활근세포들은 phenylephrine(PE)의 용량에 의존하여 수축하였고, EC$_{50}$는 2.3$\times$$10^{-12}$M이었다. PE에 의한 수축반응은 $K^{+}$channel openers인 cromakalim 및 pinacidil의 용량에 의존하여 억제되었고 이때의 EC$_{50}$치는 각각 1,2$\times$$10^{-10}$M 및 6.B$\times$$10^{-10}$M이었다. 비교실험으로서 근절편의 장력을 측정하여 수축을 검정한 실험에서는 cromakalim의 이완반응의 ECEC$_{50}$치는 1.94$\times$$10^{-7}$ M로 근세포실험에 비하여 감수성이 훨씬 약하였다.훨씬 약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