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f Tracheostomy in Intensive Care Units

중환자실 환자의 기관절개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양대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
  • 김성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
  • 김재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
  • 김상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
  • 추광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교실)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Tracheostomy was done to form temporary opening in the trachea, to remove secretion, to maintain ventilation and to protect against aspiration. In recent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care methods such as low pressure cuff, endotracheal intubation is being combined with tracheostomy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ho are treated long perio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and the duration from endotracheal intabation to tracheostomy is like to prolong. To determine the proper time of tracheostomy in the pati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s, authors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96 patients who received the tracheostomy procedure among the 8776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s of Asan medical center form March 1990 to March 1993, and analyzed the complications of tracheostomy, decannulation and the cause of decannulation failure according to disease, age ind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and dur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기관절개술은 기도의 확보, 분비물의 제거, 환기의 유지, 흡인으로부터 기관의 보호등을 위해 시행해온 시술이다. 근래에 low pressure cuff의 개발등으로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중환자실 환자의 치료에서 기관내 삽관술과 기관절개술이 병용되며 기관내 삽관으로부터 기관절개술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는 추세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내 삽관이 시행된 중환자실 환자에서 적절한 기관절개술의 시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1990년 3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서울중앙병원의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총 8776명의 환자중 이비인후과에서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97명을 대상으로 질환, 연령, 기관내 삽관의 적응증 및 기관내 삽관의 기간에 따른 기관절개술 합병증 발거유무 및 발거 실패의 원인등을 임상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