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캅셀화에 의한 조절방출제제 개발 I: 유드라짓 마이크로캅셀화에 의한 $\beta$-락탐계 항생제의 방출제어

  • 발행 : 1992.05.01

초록

1. Eudragit RS, RL, E, S 및 L을 이용하여 유중건조법으로 제조한 $\beta$-락탐계 항생제 (Amoxicillin, Cephalexin) 마이크로캅셀 모두가 구상 성형성과 정립성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분리 분산제 (aluminium tristearate)의 양을 고정시켰을 때에는 일정한 입자 분포도를 가지는 마이크로캅셀을 얻을 수 있었고, 양을 증가시켰을 때에는 입자 크기는 작아 졌으며, 용출율은 증가하였다. 3. Eudragit RS 및 S 마이크로캅셀제제로부터의 약물용출은 저조하였고, Eudragit RL 및 L 제제로부터의 약물용출은 양호하였다. 따라서 Eudragit RS/RL 마이크로캅셀제제에서는 Eudragit RL의 양을 증가시킬수록 약물의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며, Eudragit S/L 마이크로캅셀제제에서는 Eudragit L의 양을 증가시킬수록 약물의 용출율이 증가하였다. 약물방출 실험결과, Amoxicillin 함유Eudragit RS/RL (25/75) 마이크로캅셀, cephalxin함유 Eudragit RS/RL (75/25) 마이크로캅셀 및 Eudragit S/L (75/25) 마이크로캅셀제제는 유용한 제제로 펑가되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glycol을 혼합하어 제조하는 것에 의해 방출조절성 마이크로캅셀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유중건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방법으로 저조한 마이크로캅셀제제는 투어횟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에 대해 안전하고 재현성에 확보되는 유용한 제제로 판단된다. 앞으로 연구를 계속 수행하여, 특히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제내 투어 후의 생물약제학적 펑가를 엄격히 하므로써 안정성이 심히 문제시되는 다용 약물계열에 대한 조절방출성제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은 해리항수의 역수이므로 해리항수가 적을수록 $\beta$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큰 약물이다. 시사되었으며, 이 조직에서 또한 5-$HT_2$와 5-$HT_3$ 수용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각각의 기능을 분명히 했다.가 수월하게 하였고 메모리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smpl에 디버깅용 함수 및 설비(facility) 제어용 함수를 추가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who_server(), who_queue(), pop_Q(), push_Q(), pop_server(), push_server(), we(), wf(), printfct() 같은 함수들이다. 또한 동시에 발생되는 사건들의 순서를 조종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각의 사건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 우선 순위에 의하여 사건 리스트(even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