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억제제 및 Spermine의 항혈소판작용에 관한 연구

  • 전보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최상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정태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조송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민본홍 (건국대학교 자연대학 생화학과)
  • Published : 1992.05.01

Abstract

항혈전성 약물로서 그의 항 혈소판 작용력은 dipyridamole보다 강하나 심혈관계 등에 대한 부작용이 적어 clinical efficiency가 유의하게 높은 약물개발에 대한 연구는 임상적 응용성 뿐 아니라, 혈소판-응고기전의 규명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PDE-I)들의 항혈소판 작용을 검토하여 그들의 혈관 내피세포와 혈관평활 근세포의 중식에 대한 영향을 항혈소판성 작용을 보이며 혈관세포들의 증식에 없어서는 안되는 spermine의 그것과 비교 검색하였다. Johnson 등(1985)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 aequorin부하-가토혈소판의 thrombin(0.25 units: TB)에 대한 응집반응에서, pyridazinone 유도체인 KR30075, sodium nitroprusside(SNP), imazodan, isobutylmethylxanthine(IBMX), rolipram, 및 spermine의 응집억제성 $IC_{50}$/ (M)은 각각 2.21 $\times$ $10^{-7}$, 1.26 $\times$ $10^{-6}$, 6.96 $\times$ $10^{-6}$, 7.78 $\times$ $10^{-6}$, 8.11 $\times$ $10^{-4}$, 및 4.28 $\times$ $10^{-3}$ M으로써 이들은 TB-응고반응에 동반되는 혈소판 [Ca$^{++}$]$_{i}$-증가에 대한 각각의 $IC_{50}$/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