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삼근의 저온 휴면 요구도

ROOT CHILLING DORMANCY REQUIREMENTS FOR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 Konsler T.R.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 발행 : 1984.09.01

초록

미국인삼 1년생근을 재료로 하여 각 온도조건별(-15, 0, 3, 6, 9, 12 및 $15^{\circ}C$)로 120일 이상 온도 처리한 후 온실 조건에 식부하여 성장기간동안 출아 소요일수 및 근중 증가율을 조사하였다. $0^{\circ}C$ 이하와 $9^{\circ}C$ 이상에서도 출아가 되지 않았으며 발아기능 온도 범위내에서는 온도에 따른 출아 소요일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저장기간이 싹의 후면 타파력 및 휴면타파 종료일로부터 발아일(R = 91)까지의 기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0{\%}$의 출아를 위해서는 약 1,800시간의 저온 처리가 요구되었다. 720시간의 휴면 타파를 위한 저온 처리를 받은 인삼근의 $15{\%}$가 근관을 형성하였다. 휴면 타파가 출아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저온 처리의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거의 125일 (3,000시간) 이었다. 이러한 발견은 인삼재배를 위한 온도 조건을 고려한 적지 판정을 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이는 개체군에 따라 휴면 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충족요건이 유전적으로 다를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Dormant one-year-old ginseng roots were subjected to a range of stratification temperatures and time to define effective limits to these parameters and to quantify their effect on terminating dormancy. Effective storage temperatures tested ranged from $0^{\circ}C\;to\;9^{\circ}C.$ A low percentage of roots produced tops with as few as 30 days in stratification; however, 75 to 90 days were required for 100 percent emergence. Days to emergence, after planting, decreased with increased days in storage thru the maximum storage time of 120 days. The number of days of dormancy was relatively constant, near 126.5 days, over the range of effective temperatures and acceptable storage times. The minimum period of dormancy was associated with 75 days in storage at $3^{\circ}C.$ Root growth rate, after emergence, was greatest following 105 days of stratificati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emergence with days in stratification suggests the potential of selecting for strains of ginseng with low chilling needs for satisfying dormancy require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