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istical Study of Radiolucent Foreign Bodies in Food and Air Passage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상 발견되지 않은 식도 및 기도 이물의 임상 통계적 고찰

  • 손영규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 ;
  • 이창업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 ;
  • 배광식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 ;
  • 박문서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 ;
  • 이선철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
  • Published : 1983.05.01

Abstract

We have observed 74 cases of radiolucent foreign bodies in food and air passage in E. N. T. department of Hang Gang Sacred Hospital, from Jan. 1972 to Mar. 1983.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Distribution of location was 56 cases(75.6 %) in food passage and 18 cases (24.4 %) in air passage. 2) In age distribution, 46 cases (82.1 %) of F. B. in food passage were found in patient over 21 years old and 12 cases (66.7 %) of F. B. in air passage were found in patient under 5 years old. 3) Female seems to be more frequently involved than male in cases of F. B. of food passage and in cases of air passage, male is more frequent. Food passage male: female - - - 25 : 31 Air passage male: female - - - 10 : 8 4) Meats was the most frequent foreign body in food passage (19 cases-33.9%), and the bony pieces was next (17 cases-30.4 %). Plastic material was the most frequent foreign body in air passage (9 cases-49.9 %), and the vegetable seed was the second (4cases-22.0 %). 5) In the location of F. B. in food passage, the first narrowing of the esophagus was the most frequent site and in air passage, the bronchus-especially right bronchus-was the most frequent site. 6) In the duration of lodgement, 44 cases(78.6 %) of F.B. in food passage were visited with - in 24 hours, and 11 cases (61 %) of F. B. in air passage were visited with - in 24 hours. 7) Simple chest PA was checked in all patient and then, esophagogram was checked in 34 cases of F.B. in food passage, among them positive finding was noticed in 23 cases. 8) Removal of F. B. in food passage by esophagoscopy was performed in 54 cases (96.4 %), but in the cases of air passage, removal of F. B. by bronchoscopy was performed in 14 cases (77.8 %). 9) Complications of food passage by the F. B. itself or esophagoscopy were esophageal mucosal laceration (1 cases-1.8 %) and esophageal perforation (1 case -1. 8 %) and complication of air passage by F. B. itself or bronchoscopy were atelectasis (2 cases -11.1 %) and pneumonia (3 cases-16.7 %).

1972년 1월부터 1983년 3월까지 만 12년 3개월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 내원한 식도 및 기도 이물 환자에 있어서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상 발견되지 않았던 이물에 대한 임상 통계적 고찰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식도이물에 있어서 539례의 식도이물 중에서 56례 (10.4 %)가 기도이물, 25례 중 18례 (72.0 %)가 단순 흉부방사선 검사상 나타나지 않은 이물이었다. 2) 연령별로는 식도이물에서 21세 이상이 46례 (82.1 %) 였고, 기도이물은 5례 이하가 12례 (66.7 %) 이었다. 또한 위 연령군에서의 식도이물 중 육괴가 19례 (41.7 %), 골편이 15례 (32.6 %)로 주종을 이루었고, 아울러 양잿물 및 강산섭취 과거력을 가진 식도 협착증 환자가 7례 있었으며, 기도이물의 위 연령군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이 7례 (58.3 %), 식물이 3례 (25.0 %)로 주종을 이루었다. 3) 성별빈도는 식도이물에서 여자 (55.4 %)가 남자(44.6 %) 보다 많았으며, 기도이물에서는 남자(55.5 %)가 여자 (44 5 %) 보다 많았다. 4) 이물의 종류별 빈도는 식도이물에서 육괴가 19례 (33.9 %), 골편이 17례 (30.4 %)순이었으며 ,기도이물에서는 플라스틱류가 9례 (49.9 %), 식물이 4례 (22.0%) 순으로 많았다. 5) 개재부위는 식도에서 제 1협착부가 가장 많았고(60.7 %), 기도에서는 기관지가 가장 많았으며(72.2 %) 특히 우측기관지가 많았다(50.0 %). 6) 개재기간은 식도이물의 경우 44례 (78.6 %)가 1 일이내에 내원하였고, 기도이물의 경우에서는 11례 (61.1 %)가 1 일이내 내원하였으며 25 일 경과후 내원한 경우도 1례가 있었다. 7)식도 및 기도이물의 전례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에 나타나지 않은 56례 식도이물을 대상으로 34례에서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23례가 양성 소견을 나타냈다. 8) 식도경술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경우는 54례(96.4 %) 였으며, 기관지경술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경우는 14례 (77.8%) 였다. 9 ) 식도 이물에 의한, 또는 식도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식도점막열상 1례 (1.8 %), 식도 천공 1례 (1.8 %) 였으며, 기도이물에 의한, 또는 기관지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무기폐 2례 (11.1 %), 폐렴 3례 (16.7 %)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