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Tracheal Stenosis Using Silicone T-tube

기관협착증에 대한 Silicone T-tube의 치료경험

  • Published : 1981.05.01

Abstract

The Silicone tracheal T-tube was designed to maintain an adequate tracheal airway as well as to provide support in the stenotic reconstituted or reconstructed trachea. This report is our experiences with using silicone T-tube which were successfully used to two cases with extensive laryngotracheal trauma, and one case with decannulation difficulty for 9 months. Authors strongly believe that silicone T-tube is an excellent device out of consideration for our experienced cases, though many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for the treatments of tracheal problems.

최근 병원 각과에 있어서 기관내 삽관 혹은 기관절개에 의한 장기간에 걸친 호흡관리 증례가 증가하고있다. 이는 장기간의 호흡관리상의 문제점으로서 삽관 그 자체 혹은 Cuff에 의한 조직손상으로 후두 및 기관에 협착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Meclelland는 기관절개를 받은 389례중 14례(3.6%)가 기관삽관발거곤란증을 일으켰고, 우리나라에서도 홍등은 기관절개를 받은 1514례중 23례(1.5%)가 기관협착을 일으켰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통사고와 산업재해등에 의한 후두 및 기관손상도 증가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후두 및 기관손상에 의한 협착에 대하여 과거 여러가지 요법이 있었다. 즉 보존적 치료법과 수술적 치료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최근에 주목되고 있는 Silicone T-tube은 기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재건한 기관을 지탱하여 주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최근에 저자들은 2례의 후두 및 기관외상 환자와 9개월 간의 기관 Cannula 발거곤란증 1례에 대하여 Silicone T-tube를 사용하며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