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with impedance audiometry; the increase in air volume in the middle ear air system and the pneumatization of human temporal bones

측두골의 함기도와 중이강의 용적이 고막 임피던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77.06.01

Abstract

The vibratory energy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ear canal is changed by the mechanical factors of eardrum itself, the motility of ossicles, and the air cushion of tympanic cavity and the lik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olume of middle ear cavity and mastoid air cell system as a factor of determining the accoustic impedance of middle ear system. The author studied how the increase in air volume of middle ear cavity effects on the acoustic impedance of middle ear system with dogs' ears and research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neumatization of temporal bones and the acoustic impedance of middle ear system by comparing the radiological findings of pneumatization (Law's and Towne's projection) with the acoustic impedance measurements with Madsen ZO 70.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tympanometric findings in control state revealed the curves of type A, and did not change in its configuration by the increase in the air volume of dogs middle ear system. 2. The static compliance of middle ear revealed a distinct and linear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air volume of middle ear system; the rate of increase was $0.05{\pm}0.02$ cc of static compliance per cc of air volume. 3. Authenticated in the above result and the tendency to increase in static complianc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degree of pneumatization of temporal bones, there was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degree of pneumatization of temporal bones (x variable) and the static compliance of middle ear system; $y=0.19x{\pm}0.16{\pm}0.05$ It i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volume of middle ear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of the static compliance of middle ear, and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measurement of static compliance of middle ear has clinical value as diagnostic means of evaluating the degree of pneumatization of temporal bones along with some radiological examination.

중이의 impedance는 고막, 이소골연쇄 및 중이강.유양동.함기봉와의 공기강에 의해 결정되는 바, 저자는 우선 신선한 개의 중이를 재료로 하여 중이강의 강기체적을 변동시킴으로써 중이강의 공기체적인자가 중이의 impedance를 어떻게 변동시키는가를 조사하였고, 다음으로 과거력과 현재상태에서 외이도, 고막 및 중이에 병변이 없는 환자에서 중이의 impedance를 측정하고 아울러 측두골의 X-녹상을 언어 측두골의 함기도에 따라 중이의 static compliance의 변동을 조사하여 이과학의 임상적인 면에서의 중이의 static compliance의 또 하나의 이용가치를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의 중이는 control state에서 Type A의 tympanogram을 보였으며, 중이강의 공기체적의 변동에 의해 tympanogram curve의 채형은 변동하지 않았다. 2. 개의 중이에 있어서 중이의 static complance는 중이강의 공기체적의 변동에 의해 유의한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중이강의 공기체적 1cc의 증가에 대해 $0.5{\pm}0.1$cc의 증가율을 보였다. 3. 측두골의 함기도가 양호해짐에 따른 중이의 static compliance의 증가경향과 개의 측두골표본에서의 실험적인 근거로부터 측두골의 함기도(x)와 중이의 static compliance (y)사이에 $y=0.19x+0.16{\pm}0.05$의 회귀방정식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중이강의 공기체적의 변동은 유의한 중이의 static compliance의 변동을 일으키며, electroacoustic impedance bridge (Madsen ZO 70, 220 Hz 의 probe tone을 사용)를 사용하였 중이의 static compliance를 측정함으로써 임상적으로 측두골의 X-선상을 촬영하지 아니하고도 간단히 측두골의 함기도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impedance audiometry의 임상진단학적인 견지에서의 또 하나의 가치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